목차
부동산 재개발 사업을 진행하며 이주가 끝나고 공사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 대조1구역 재개발 공사가 중단되었습니다.
대조1구역 재개발 구역은 은평구에 위치해있으며 2024년 1월 1일에 시공사인 현대건설로부터 공사비 미지급을 이유로 공사 중단을 통보받았는데요.
이주까지 마무리되고 공사를 한창 진행해야하는 상황에서 공사중단이 장기화되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조합원들의 경제적인 손실이 불가피합니다.
대조1구역 재개발 구역의 공사중단은 작년에 둔촌주공에서 아파트 공사를 중단한 것과 비교되면서 같은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대조1구역 재개발 구역의 공사중단 원인과 둔촌주공과의 공사중단 사례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조1구역 재개발 부동산 재개발 공사중단 원인
대조1구역은 2023년에 공사를 시작한 재개발 구역 입니다.
시공사도 현대건설로 1군 브랜드 아파트인 힐스테이트 메디알레로 2000가구가 넘는 대단지 아파트로 아파트를 건설 중이었는데요.
조합내부에서 조합장 지위를 철회하는 소송이 연달아 일어나면서 조합장 부재 상태를 원인으로 현대건설에 공사비를 지불하지 않았습니다.
한두번의 소송이 아닌 유사한 원인(조합장 지위 박탈 등)으로 지속적인 조합 내부의 갈등으로 인해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하게 되었고,
현대건설은 공정률이 20% 수준인 상태로 건설을 진행하던 중 공사비를 지급받지 못하고는 계속해서 아파트를 시공할 수 없다고 입장을 밝히고 공사를 중단했습니다.
보통의 경우 재개발 재건축 사업장에서의 갈등은 시공사와 조합간의 갈등으로 야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대조1구역 재개발 현장의 공사중단의 원인은 조합간의 갈등으로 공사가 중단된 사례인데요.
시공사와 조합간의 갈등이라면 공사비의 문제인 경우가 많죠. 이런 경우 공사비를 적당한 가격으로 합의해서 공사를 재개할 수 있지만, 조합간의 갈등이 깊어지면 더이상의 재개발 공사가 재개되기 어렵고 차일피일 공사기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습니다.
대조1구역 둔촌주공 공사중단 차이점
대조1구역 재개발 구역의 공사중단 원인이 조합장 지위 박탈을 원인으로한 조합간의 갈등으로 확인했습니다.
둔촌주공의 경우에는 시공사와 조합간의 갈등이 원인이었다는 점에서 대조1구역의 사례와 차이를 보입니다.
둔촌주공 올림픽파크포레온 아파트 재건축의 경우 조합측에서 요구한 아파트 설계 고급화에 따라 시공사에서는 공사비를 증액시켜줄 것을 요구했는데요.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이전에 계약한 계약서를 근거로 더이상의 공사비 인상은 어렵다고 주장을 하면서 공사비 인상 무효화를 주장했습니다.
공사가 중단되고 일반분양이 지연되면서 재건축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고 장기화되면 조합의 입장에서 늘어나는 공사비와 금융비용 탓에 적당한 합의점이 필요했는데요.
시공사와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조합간의 적당한 공사비 증가에 합의를 하면서 재건축 공사가 재개되어 일반분양까지 마쳤습니다.
둔촌주공 재건축 공사가 중단된 것은 5개월 남짓인데 이 기간동안 늘어난 공사비는 4조원에 가깝고, 조합원들의 추가분담금은 1인당 1억 8천만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대조1구역 공사중단 장기화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사례처럼 시공사와 조합간의 갈등이 원인이라면 돈을 가지고 기싸움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당한 합의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대조1구역 재개발 구역의 경우에는 조합 내에서 조합장 지위를 두고 계속해서 박탈을 주장하며 조합장의 지위가 부재한 상황입니다.
조합장이 부재하면 부동산PF 대출도 어렵고 일반분양은 물론이거니와 재개발 진행에서 여러 단계에 걸림돌이 됩니다.
계속해서 공사중단 기간이 늘어나면 이에 따른 조합원들의 금융비용이 증가하여 추가분담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루빨리 조합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고 공사를 재개하는 것 만이 재개발 사업의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인데요.
모두가 쾌적하고 좋은 환경에서 살고 싶어서 하는 재개발 사업이니 만큼 조합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방향에서 조속한 갈등 해결과 공사재개로 멋진 아파트의 시공이 마무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 지속 매매가격 상승 유발 (0) | 2024.02.13 |
---|---|
설날 이후 부동산 시장 집값 상승 전망 전세가격과 금리인하 변수 (0) | 2024.02.10 |
부동산 구매심리 분석 미분양률 경매 낙찰가율 입주물량 인구증감 영향 (0) | 2024.02.04 |
부동산 DSR 계산기 대출 가능 금액 계산 연소득별 구매 가능 아파트 가격 (2) | 2024.02.04 |
노후계획도시정비특별법 용적률 상향 혜택 1기신도시 분당 주목 (0) | 2024.02.01 |